이중볼록렌즈의 영상형성원리는 무엇인가?

출시 날짜:2024-05-13 14:22:08 | 정보 출처:微米光学 | 기사 유형:原创 | 조회수:0

이중볼록렌즈는 두개의 볼록하게 나온 표면, 즉 입사면과 사출면이 있다.이런 렌즈는 렌즈면 중간부분의 초점거리가 비교적 길고 각 렌즈면 끝부분의 초점거리가 비교적 짧은 특징이 있다.재질은 k9 유리를 비롯해 용융석영 · 셀렌화아연 · 황화아연 · 게르마늄 · 규소 · 불화리튬 · 불화마그네슘 · 불화칼슘 · 불화바륨이다.그렇다면 이중볼록렌즈의 영상형성원리는 무엇인가?

이중볼록렌즈는 두개의 볼록렌즈로 구성되였는데 광선이 먼저 첫번째 볼록렌즈 (대물렌즈)에 들어간다. 볼록렌즈의 굴절특성으로 말미암아 광선이 대물렌즈를 통과할 때 굴절이 발생하여 대물렌즈의 초점에 모이게 된다.이 초점의 영상은 확대된 거꾸로 선 실상이다.이 확대된 실상은 두번째 볼록렌즈 (접안렌즈)의 물체가 된다.광선은 대물렌즈의 초점에서 출발하여 대안렌즈에 들어간다.대안렌즈도 볼록렌즈이므로 다시한번 광선을 굴절시켜 광선을 하나의 새로운 초점에 모아준다.접안렌즈의 초점거리와 배치위치 때문에,이 새로운 초점은 결코 진정으로 형성되지 않을 것이며, 접안렌즈 뒤의 일정한 거리에서 하나의 확대된, 직선 허상이 형성될 것이다.이 허상이 바로 관찰자가 볼록렌즈로 본 영상이다.영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첫번째 볼록렌즈 (대물렌즈)와 두번째 렌즈 (대안렌즈) 사이의 길이는 될수록 초점거리의 2배에 가까워야 한다.이렇게 대물렌즈는 실상을 최대화할수 있고 대안렌즈는이 실상을 진일보 확대하여 똑바로 선 허상으로 전환시킬수 있다.동시에 허상의 형성을 피하기 위하여 대물렌즈와 대안렌즈 사이의 거리가 초점거리와 같거나 작으면 안된다.이중볼록렌즈의 영상효과는 대물렌즈의 초점거리의 영향을 받는다.대물렌즈는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확대배율이 크지만 동시에 시선과 투명도에도 일정한 영향을 받는다.때문에 이중볼록렌즈를 설계할 때 초점거리와 기타 계수의 균형을 고려함으로써 비교적 리상적인 영상효과를 실현해야 한다.

이상은 이중볼록렌즈의 이미징원리에대한 해답이다. 귀하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어떤질문이있으시면 온라인자문이나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레이블:

관련 제품

온라인 컨설팅

WeChat

微信扫码咨询

전화기

메일박스

回到顶部